2010년 3월 18일 목요일

Central District Court

Central District Court


관 (한국 복식) [冠]


관을 쓰던 역사는 매우 오래되어 고구려 벽화나 신라·백제의 고분에서 출토된 유물 등으로 보아 삼국시대에 이미 관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중국의 〈북사 北史〉·〈신당서 新唐書〉 등을 보면 고구려 사람들은 변(弁) 모양의 절풍건을 썼으며, 여기에 새깃을 달아 조우관(鳥羽冠)이라 불렀다. 그외 관리들은 '소골'이란 관을 썼으며, 이외에 백라관(白羅冠)·청라관(靑羅冠) 등이 있었다고 한다. 백제도 3세기 중엽 고이왕 때 관복제도를 제정한 것으로 보아 일찍부터 관을 착용했을 것으로 보이며, 일상적으로는 방갓(가는 대오리로 삿갓 비슷하게 결어서 만든 갓)을 이용했다. 무령왕릉 출토품인 금제관식은 왕과 왕비의 관을 짐작하게 해준다. 신라는 5~6세기에 만든 여러 고분에서 상류층의 예관(禮冠)인 금관들이 출토되었다. 우리가 현재 알고 있는 다양한 관들은 대개 조선시대에 이르러 복제의 정립과 함께 완성된 것들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